1. 기술적 문제 해결의 이해
1) 문제란?
2) 문제 해결이란?
3) 기술적 문제 해결이란?
체육대회 계주 선수로 나선 짱구! 1등으로 달리던 와중에 신발끈이 풀려 끈을 밟고 넘어지고 만다ㅠㅠ
몸시 속상해하는 짱구, 다른 사람들이 자신과 같은 문제 상황을 경험하지 않도록 해결 방안을 고민해 보는데... 과연 그 방안은?
2. 기술적 문제 해결의 개념
1) 기술적 문제 해결이란?
다양한 문제 해결 방법 중 하나로 인간이 경험하는 다양한 형태의 문제를 기술적인 방법과 지식을 이용해 해결하는 것
2) 기술적 문제 해결 사례
예를 들어 학교 정문 앞에서 자동차 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것이 문제라면, 그 해결 방법에 대해 자동차가 다니지 못하도록 법적으로 제한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자동차 사고는 예방할 수 있지만 자동차를 이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을 겪어야 한다. 이에 반해 기술적 문제 해결은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불편을 겪지 않고 오히려 편리함과 효율성을 증대시키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향을 지향한다. 이 경우에는 자동차 전용 도로를 지하 터널로 건설하거나, 신호등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등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이와 관련된 사례로 1865년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 시절 만들어진 '붉은 깃발법'을 들 수 있다. 이 법은 세계 최초의 교통법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당시 증기기관의 등장으로 피해를 보게된 마차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법은 ‘도심을 통과하는 자동차는 사람이나 말을 놀라게 해서는 안 된다’는 취지로 증기 자동차의 도심 통과 속도를 걷는 속도 정도로 제한하였고, 자동차 앞쪽 약 50 m 정도에서 한 사람이 앞서 걸어가며 낮에는 붉은 깃발을, 밤에는 등을 들고 가도록 하였다. 즉, 증기 자동차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기술적 문제 해결보다는 법으로 문제를 해결했던 것이다. 이 조치로 인해 산업혁명을 주도하며 공업화의 선두를 달리던 영국은 자동차 산업의 주도권을 프랑스와 독일, 미국에게 넘겨 주게 되었다.
기술적 문제 해결은 주어진 문제를 기술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결함으로써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하고, 국가 발전에 원동력이 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3) 기술적 문제 해결 과정
기술적 문제 해결 과정은 문제의 확인, 아이디어의 구상과 선택, 실행, 평가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① 문제 확인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문제점을 찾는 단계이다. 보통의 경우 불편함을 통해 문제점을 찾아내지만, 불편함이 없더라도 필요한 것을 찾아 문제를 확인하는 경우도 많다. 문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같은 상황이라 할지라도 문제를 다르게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겨울철 빙판길에서 낙상 사고가 많이 발생하여 부상을 당하는 사람이 많다는 기사를 읽었을 때, 미끄러운 빙판길이 문제라고 인식할 수도 있고 빙판길에 미끄러운 신발이 문제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즉, 문제에 대한 인식은 문제를 바라보는 사람의 지식과 관점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② 아이디어 창출 및 선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와 개발을 하는 단계이다. 확산적 사고를 통해 가능한 많은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정보를 수집한 후, 수렴적 사고를 통해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하나의 아이디어로 다듬어 나간다. 확산적 사고는 문제에 대한 정답을 정하지 않고 여러 가지 의견을 통해 다양한 답을 찾아보는 방법이며, 수럼적 사고는 하나의 정답을 찾기 위해 범위를 좁히고 구체화하는 방법이다. 확산적 사고를 위한 기법으로는 브레인스토밍, 마인드맵 등이 쓰이며, 수렴적 사고를 위한 기법으로는 PMI(Plus Minus Interesting) 기법, ALU( Advantage Limited Unique) 기법 등이 쓰인다. 이러한 방법 외에도 다양한 사고 기법(스캠퍼, 역브레인스토밍, 트리즈 등)들이 사용되고 있다. 아이디어 구상 및 선택 과정에서 모두가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정하여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선택하며 구체화시킨다.
③ 실행(실현)
구체화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제품을 제작하거나 아이디어를 통해 제시된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실행하는 단계이다.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면 설계 도면을 작성하고, 필요한 재료를 가공하여 조립하는 과정을 통해 시제품을 완성한다. 상황에 따라 제품 생산이 아닌 새로운 방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④ 평가
완성된 제품 또는 개선 방법이 문제의 확인 단계에서 인식한 불편함을 해결해 주었는지 확인한다. 또한 제품의 사용으로 발생하는 또 다른 문제점은 없는지 확인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제품의 설계와 제작에 반영하여(피드백) 불편함을 개선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기술적 문제 해결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技術的 問題解決]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3. 기술적 문제 해결 탐구 Worksheet